농업과 임업 등 관련 통계자료만도 추려 보았습니다.

모든 지표가 마이너스 이지만 특히나 임업 분야의 마이너스가 심각하네요 ㅠㅠ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발표

 

고용노동부는 미래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전망치를 제시하는 「2018~2028 중장기인력수급전망」을 12.17.(화) 발표하였다.

- 앞으로 10년간 15세 이상 인구는 증가(+191만 명)하는 반면 15~64세 인구는 260만 명 감소하며 60세 이상 인구 증가(+505만 명)가 전체 인구 증가를 주도할 전망임.

-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은퇴 시기 연장,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 등으로 앞으로 10년간 124만 명 증가가 예상됨.

- 15세 이상 취업자는 앞으로 10년간 128만 명 증가(고용률 +0.3%p)하나, 인구증가 둔화와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2027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보임.

- 앞으로 10년간 고졸자(-60만 명), 대졸자(-45만 명)는 초과 수요인 반면, 전문대(+64만 명)는 기술 발전 등으로 중간 숙련 수요가 감소하면서 초과 공급될 전망임.

- 혁신전략을 통해 4차 산업혁명에 적극적인 대응하여 기술발전 속도가 추세보다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경우에 2020년대 후반기부터 성장의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전체 취업자는 2035년에 기준 전망보다 48만 명이 추가로 증가할 전망임.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발표.hwp
0.46MB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전망.hwp
1.24MB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Q&A.hwp
0.02MB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요약)농업 임업 어업 목제 관련으로.hwp
0.03MB

http://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195783&topic=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