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기준 자료는 휴대폰으로 사용 가능한 '산길샘'어플에서 기록한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제목에서와 같이 항공(헬기) 기준으로 작성을 하나, 지상 경로도 적용 방식은 동일합니다.

 

[시각화 도전~]

항공예찰 경로 파일을 확인 합니다.

파일 확인

 

파일을 QGIS에서 불러와서 ‘tracks’선택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tracks 선택


탐색을 눌러 저장 경로를 지정하고 설정 정보는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형식 - ESRI Shape 파일, 좌표계 EPSG:5186

설정 후 확인

레이어창에 생성된 내용을 클릭하고 '벡터 – 공간 연산 도구 – Fixed distance buffer' 클릭  

입력 레이어 파일명 확인, 거리 1000, 세그먼트 10, Dissolve result 선택합니다.

지상예찰은 거리의 수치를 200등으로 낮추어 설정하면 됩니다.

보이는 선을 기준으로 좌우 1km, 좌우 200m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거리와 세그먼트 설정

결과물 확인합니다.
어느 지역을 가고, 보았는지도 알 수 있어서 결과 보고에도 유용합니다.

[숫자로 표현해보자!]

우측 상단에 '필드 계산기 열기' 클릭합니다.  

필드 계산기 열기 클릭

표현식 – 지오메트리 - $area 선택, 출력 미리보기 수치 확인합니다.


$area 뒤에 ‘/10000’ 입력 후 출력 미리보기 수치 확인합니다.

 

해당 방식은 얼마큼 예찰, 조사를 했는지 보고할 때 유용한 방식으로

앞쪽은 지도로 시각화, 뒤쪽은 숫자로 계산이 가능하여 상황에 맞추어 사용하시면 보고에도 유용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동 예정 경로를 설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등산 동호회, 현장 출장 등에서는 예정된 이동해야 하는 경우 매우 유용한 방식입니다.

구글어스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작성 가능한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구글어스를 실행하고 상단에 '경로 추가' 클릭합니다. 

경로 추가 클릭

이름과 스타일을 설정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완료됩니다. 

설정 후 확인



경로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확인을 누르고 생성된 파일에서 우클릭 ‘장소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클릭합니다. 

장소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파일 이름 확인, 형식은 'kml'인지 확인하고 저장합니다.

파일형식을 kml을 선택

 

사용하려는 장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호환성을 위해서 kml을 권장해 드립니다.

 

 

추신 : QGIS로도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나, 산길샘에서 인식시키는 과정에서 구글어스로 불러오고, 저장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경로 설정은 구글어스로 바로 설정하고 저장하는걸 추천해 드립니다.

QGIS만을 사용 한다면 구글 어스는 필요없이 사용은 가능하겠으나, 휴대폰 등 호환성(KML파일 등)을 위해서는 구글어스 설치를 권장해 드립니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변환 완료된 파일이 모바일 등에서 열리지 않아 당황하신 분들이라면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글어스를 프로그램 다운 후 실행하는 방식을 권장해 드립니다.

 


인터넷에서 ‘구글어스’를 입력 후, '다운로드'를 클릭 눌러줍니다.


혹시, 인터넷 주소와 함께 지구 화면이면 되돌아갑니다. (돌아가세요~)


'동의 및 다운로드' 클릭합니다.
 


다운로드된 파일을 실행 합니다.

'실행'을 눌러 설치를 진행합니다..
  

 


구글어스 실행 모습입니다.

 

행정경계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를 불러오다보면 설정을 변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버전,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 원리는 동일하니 참고하시면 되며, 이번에는 '구글어스'를 미리 설치해야 하는점 염두해 두시기 바랍니다.

 

[설정변환 도전~]

지도 정보 및 예찰구역 불러오기

구역 더블클릭 단색 채우기 채우기 투명한 채우기

 

불러온 정보 확인 (지도와 매치 여부 등)

단일 클릭이나 영역으로 객체 선택을 누르고 영역 선택

면적을 추가하거나 제외시키고자 할 때는 'Ctrl + 마우스 좌클릭'

 

구역 우클릭 다른 이름으로 저장...클릭

형식은 ESRI Shape 파일로, 저장명은 탐색을 눌러서 입력

인코딩은 System, 선택된 객체만 저장 클릭

설정이 완료된 후 확인

저장명으로 생성된 레이어 선택 후,

백터 지오메트리 도구 폴리곤을 선으로 클릭

입력 레이어에서 생성된 레이어를 선택

Lines from polygons에서 클릭 후 파일로 저장...선택

 

파일 이름 입력 후 저장클릭

하단에 Run클릭

 

결과(Lines from polygons) 확인하기

 

Lines from polygons 우클릭 다른 이름으로 저장...클릭

형식은 KML, 저장명은 탐색을 눌러 입력, 좌표계를 선택선택후 확인

사용된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기준 좌표인 EPSG:5186외에 예시에서와 같이 EPSG:4326-WGS 84와 같이 다른 좌표를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차이가 나는건 자료에 따라서 평면 형태, 도면 형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저장 경로에 파일이 생성됨 (최종 파일과 혼돈하지 않게 주의)

설정값과 지도가 맞는지 구글어스를 통해 확인

 

파일명 우클릭 - ‘장소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클릭

 

19. 파일 이름확인, 형식은 kml인지 확인하고 저장

 

담당자 기기에서 확인 후 내보내기

 

이번 시간에는 다른 파트보다 길었네요.

여러분들도 하나씩 해보면서 테스트 해보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행정경계를 포함해서 분석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행정경계 다운로드 (www.gisdeveloper.co.kr/?p=2332)경로에서 필요하신 파일을 다운받아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약자로 보면 CTPRVN - 시군, SIG - 시군구, emd - 읍면동, li - 리 를 이해하고 사용하시기 편리합니다.

분석하다보면 경계가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법정동, 행정동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 많습니다.

이 차이는 무시하고 행정경계를 분석하는데 의미를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행정경계 인식하기]

행정경계 폴더에서 shp파일을 확인하여 QGIS에 ‘드래그

SHP파일 인식


각 경로가 인식 되었는지 확인         

파일 인식 확인


좌표별로 ‘마우스 우클릭’ 후 ‘Set Layer CRS’ 클릭
  

좌표 설정


좌표계 정보를 보고 필요한 좌표계를 선택하여 확인    


경로별 속성 입력을 위해 좌표별로 ‘더블클릭


단순 채우기를 클릭하여 하단에 정보들을 확인하여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속성 정보를 수정


하단에 폭 등 정보 수정

원하는 형태로 설정을 변경하여 저장하면 되나,

채우기는 투명, Outline은 원하는 색, 외각선 폭은 시군 0.5, 읍면도 0.4, 리 0.3과 같이 하위 행정범위로 갈 수록 변동하는 등 설정은 필요합니다.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시간에 더 자세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인식된 자료를 관리하기 위해서 SHP파일로 변환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좌표가 다른 자료는 위치 정보를 확인 후 설정(EPSG:5186)하면 변경이 가능합니다.

 

[SHP파일로 저장]

인식된 자료를 마우스 우클릭 ‘다른 이름으로 저장’ 클릭

다른 이름으로 저장


형식은 'ESRI Shape 파일'인지 확인, ‘탐색’을 클릭하여 저장 경로를 설정

저장할 위치 탐색

파일 이름을 입력 후 ‘저장’   

저장 이름 설정


저장 경로 및 좌표계 정보(EPSG:5186)를 점검 후 ‘확인’ 좌표계가 다른 자료는 해당 좌표로 설정해 위치를 맞춘 후 좌표계(EPSG:5186)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활용

좌표계 설정

SHP리스트를 확인하여 선택 및 사용

인식 파일 확인

저장 후 사용하면 이제 준비는 끝났습니다^^

엑셀 파일을 CSV로 변환도 했으니 이제는 본격적으로 QGIS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SHP)로 변환해 보겠습니다.

 

[자료를 인식시키자!]
좌측에 ‘구분자로 분리된 텍스트 레이어를 추가’ 클릭


탐색...’ 클릭, 파일을 선택 후 사용 할 ‘X필드’와 ‘Y필드’ 선택


좌표계(기본:Korea 2000 / Centeral Belt 2010 EPSG:5186)를 설정 후 확인


해당 좌표계(Korea 2000 / Centeral Belt 2010 EPSG:5186)를 권장하나, 위치가 다르면 다른 좌표계를 선택해서 적용해야 합니다. 

이유는 취득할때 좌표계가 다른 좌표계를 사용했기 때문이며, 위 아래로만 차이가 나면 주로 (Korea 2000 / Centeral Belt  EPSG:5181)를 사용하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함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좌표계로 인식된 자료는 동일한 좌표계로 바꾸는건 다음 시간에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대규모 집계 자료는 엑셀 파일로 정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자료를 QGIS 등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편집이 필요합니다.

행 조절, 확장자 변환이 필요한데 어렵지 않으니 천천히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엑셀 파일의 상단을 구성 확인(병합 시트) 후 시트 수정(권장)

엑셀 원본 파일


수정 후 형태 (1행 값을 2행에 입력 및 1행 삭제)

1행 수정 화면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


파일 형식 에서 ‘CSV(쉼표로 분리)’ 클릭

CSV로 저장


경고창이 뜨는데  ‘예(Y)’ 클릭

경고 창이 떠도 예(Y) 클릭



[참고. 엑셀과 CSV 저장 시 차이]

엑셀과 CSV 차이

(좌)엑셀과 (우)CSV 저장 시 차이


* 병합시트의 1행을 수정하지 않고 사용해도 문제는 없으나 Y값이 빈칸으로 정확한 자료 선택을 위해서는 편집을 권장

    각 저장별 차이를 표시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엑셀 저장
CSV 저장 결과 (Y값 빈칸)
1행 정리 후 CSV 저장 결과

 

QGIS 사용하다 보면 버전에 따라 메뉴 구성이 차이가 나거나,

개발된 프로그램이 특정 버전에 최적화 되어 있는데 버전 차이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존 버전도 다운받을 수 있으니 원하는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해 보자고요~

 

[원하는 버전을 찾자~]

시작은 동일합니다. 

QGIS 사이트(qgis.org/ko/)에 접속 후 좌측 하단에 '지금 다운로드'를 클릭합니다.

QGIS 접속 후 좌측에 지금 다운로드 클릭

많은 분들이 윈도우 버전에 맞는 버전을 바로 클릭하시는데, 중앙에 '모든 배포판'을 클릭합니다.

모든 배포판 클릭

이어서 '다운로드'를 클릭합니다.

다운로드 클릭

그러면 아래의 깨진(?) 화면 같은 게 보이는데 여기가 핵심입니다.

'Ctrl + F'를 눌러 원하는 버전을 입력해 주시고, 윈도우 버전에 맞는 걸 클릭하여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버전 찾아 다운로드

방법을 알면 쉽지만 막상 처음 보면 당황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이제는 원하는 버전을 쉽게 찾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QGIS 설치도 끝나고 이제는 본격적으로 구동 관련 입니다.

필요한 업무와 작업에 따라서 플러그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변수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산림 정보를 기초로 포스팅이 이루어지는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QGIS 구동~ 한번 놀아보자~]

바탕화면에 아이콘, 시작 등 다양한 경로가 있습니다.

시작 매뉴에는 아래의 경로에 있으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모니터 중간에 나타납니다.

중간쯤에 있는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를 선택해 줍니다.

다양한 플러그인들이 보이고 설명도 되어 있습니다.

용도에 따라 다운을 받으시면 되는데요.

저는 'GeoCodingKorea'와 'TMS for Korea'설치를 추천드립니다.

(최근에 일부 플러그인은 없거나 버전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다고 하던데요.

외와같은 형태로 설치한다는것을 참고용으로 부탁드립니다.)

이미 설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화는 안되었는데요.

처음 설치하신 분들은 '플러그인 다시 설치' 위치에 설치 메뉴가 보이실겁니다.

설치를 해주시면 됩니다.

설치된 정보는 ''에서 확인을 할 수 있으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오픈 지도 들이 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지도를 선택하시면 내컴퓨터에도 지도를 작업하기 위한 기초는 끝난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죠?

지도 적용된걸 확인해 보시고 즐겁게 즐겨 보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