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파일을 CSV로 변환도 했으니 이제는 본격적으로 QGIS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SHP)로 변환해 보겠습니다.

 

[자료를 인식시키자!]
좌측에 ‘구분자로 분리된 텍스트 레이어를 추가’ 클릭


탐색...’ 클릭, 파일을 선택 후 사용 할 ‘X필드’와 ‘Y필드’ 선택


좌표계(기본:Korea 2000 / Centeral Belt 2010 EPSG:5186)를 설정 후 확인


해당 좌표계(Korea 2000 / Centeral Belt 2010 EPSG:5186)를 권장하나, 위치가 다르면 다른 좌표계를 선택해서 적용해야 합니다. 

이유는 취득할때 좌표계가 다른 좌표계를 사용했기 때문이며, 위 아래로만 차이가 나면 주로 (Korea 2000 / Centeral Belt  EPSG:5181)를 사용하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함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좌표계로 인식된 자료는 동일한 좌표계로 바꾸는건 다음 시간에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대규모 집계 자료는 엑셀 파일로 정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자료를 QGIS 등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편집이 필요합니다.

행 조절, 확장자 변환이 필요한데 어렵지 않으니 천천히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엑셀 파일의 상단을 구성 확인(병합 시트) 후 시트 수정(권장)

엑셀 원본 파일


수정 후 형태 (1행 값을 2행에 입력 및 1행 삭제)

1행 수정 화면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


파일 형식 에서 ‘CSV(쉼표로 분리)’ 클릭

CSV로 저장


경고창이 뜨는데  ‘예(Y)’ 클릭

경고 창이 떠도 예(Y) 클릭



[참고. 엑셀과 CSV 저장 시 차이]

엑셀과 CSV 차이

(좌)엑셀과 (우)CSV 저장 시 차이


* 병합시트의 1행을 수정하지 않고 사용해도 문제는 없으나 Y값이 빈칸으로 정확한 자료 선택을 위해서는 편집을 권장

    각 저장별 차이를 표시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엑셀 저장
CSV 저장 결과 (Y값 빈칸)
1행 정리 후 CSV 저장 결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