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예정 경로를 설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등산 동호회, 현장 출장 등에서는 예정된 이동해야 하는 경우 매우 유용한 방식입니다.

구글어스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작성 가능한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구글어스를 실행하고 상단에 '경로 추가' 클릭합니다. 

경로 추가 클릭

이름과 스타일을 설정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완료됩니다. 

설정 후 확인



경로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확인을 누르고 생성된 파일에서 우클릭 ‘장소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클릭합니다. 

장소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파일 이름 확인, 형식은 'kml'인지 확인하고 저장합니다.

파일형식을 kml을 선택

 

사용하려는 장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호환성을 위해서 kml을 권장해 드립니다.

 

 

추신 : QGIS로도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나, 산길샘에서 인식시키는 과정에서 구글어스로 불러오고, 저장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경로 설정은 구글어스로 바로 설정하고 저장하는걸 추천해 드립니다.

QGIS 설치도 끝나고 이제는 본격적으로 구동 관련 입니다.

필요한 업무와 작업에 따라서 플러그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변수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산림 정보를 기초로 포스팅이 이루어지는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QGIS 구동~ 한번 놀아보자~]

바탕화면에 아이콘, 시작 등 다양한 경로가 있습니다.

시작 매뉴에는 아래의 경로에 있으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모니터 중간에 나타납니다.

중간쯤에 있는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를 선택해 줍니다.

다양한 플러그인들이 보이고 설명도 되어 있습니다.

용도에 따라 다운을 받으시면 되는데요.

저는 'GeoCodingKorea'와 'TMS for Korea'설치를 추천드립니다.

(최근에 일부 플러그인은 없거나 버전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다고 하던데요.

외와같은 형태로 설치한다는것을 참고용으로 부탁드립니다.)

이미 설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화는 안되었는데요.

처음 설치하신 분들은 '플러그인 다시 설치' 위치에 설치 메뉴가 보이실겁니다.

설치를 해주시면 됩니다.

설치된 정보는 ''에서 확인을 할 수 있으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오픈 지도 들이 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지도를 선택하시면 내컴퓨터에도 지도를 작업하기 위한 기초는 끝난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죠?

지도 적용된걸 확인해 보시고 즐겁게 즐겨 보시기 바랍니다^^

GIS는 많이 들어 보셨지만 막상 개인적나 업무적으로 사용을 하기 위해서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라이센스 구매입니다.

이렇게 지르고 싶지만... 가격이 한두푼 하는것도 아니고... 돈은 없는데 자료는 가공을 해야하고...

이런 분들에게 반가운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그이름은 바로 QGIS입니다.

 

[무료 오픈 소스 지리정보 시스템 QGIS]

QGIS는 무료 오픈 소스 지리정보 시스템 이며,

호환성에 있어서도 윈도우, 맥, 리눅스 등 다양하다고 합니다.

다운을 아래 링크 주소를 참고해주시고요. 

 

다운로드 링크 경로
http://www.qgis.org/ko/site/

 

[QGIS 설치 과정]

링크 주소만 찾아 들어가면 어려운건 없지만 짧게 사진과 같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중앙 하단에 '지금 다운로드'를 클릭합니다.

운영체제 정보를 확인을 해야 하는데요. 아시는 분들은 바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되지만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설명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내컴퓨터' 또는 '윈도우 탐색기'에서 '마우스 우클릭' '속성'을 클릭해 줍니다.

윈도우 버전과 시스템의 시스템 종류를 확인하시고 다시 메인화면으로 이동을 합니다.

다운로드 하시면 하단에 아래와 같이 창이 뜨는데요.

저장을 하시고 실행을 해주시면 됩니다.

 

어렵지 않죠?

이제 여러분도 GIS를 다룰 수 있는 준비가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설정 등과 관련해서 포스팅을 준비하겠습니다.

모두 즐거운 하루 되세요^^

+ Recent posts